반응형
오늘은 어린이 사시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시는 양 눈으로 사물을 볼 때, 한 눈의 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1. 어린이 사시의 주요 원인
① 유전적 요인
- 가족 중에 사시가 있는 경우 아이에게도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 특히 영아 내사시는 유전적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음.
② 눈 근육 및 신경 이상
- 눈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6개의 외안근(눈 근육)이 제대로 협력하지 못하면 사시가 발생.
- 눈 근육을 조절하는 뇌신경)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사시가 발생.
- 마비사시는 신경 손상으로 인해 특정 방향으로 눈을 움직이는 것이 어려운 상태의 사시.
③ 굴절 이상 (원시, 근시, 난시 등)
- 심한 원시가 있는 경우, 초점을 맞추려고 눈이 안쪽으로 몰려 조절성 내사시가 발생할 수 있음.
- 굴절 이상이 있으면 두 눈이 동일한 정도로 초점을 맞추지 못해 사시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④ 약시 (시력 발달 저하)
- 한쪽 눈이 시력이 나빠지면, 정상적인 눈만 사용하려고 해서 좌우 시력이 발달이 달라져서 시력이 저하.
- 이로 인해 사용하지 않는 눈이 정렬을 유지하지 못하고 사시로 발전할 수 있음
⑤ 뇌 및 신경계 질환
- 뇌 손상이나 신경계 이상이 있으면 눈을 움직이는 신경에 영향을 주어 사시가 발생할 수 있음
- 뇌성마비, 다운증후군, 수두증, 뇌종양 등과 관련된 경우도 있음
⑥ 외상 및 기타 원인
- 출산 시 외상, 머리 충격, 안구 외상 등으로 인해 눈 근육이나 신경이 손상되면 사시가 나타날 수 있음
- 조산아나 저체중아의 경우 신경 발달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사시 발생 위험이 높음
2. 어린이 사시의 종류
① 내사시(Esotropia)
- 한쪽 또는 양쪽 눈이 코 쪽으로 몰리는 경우.
- 영아 내사시: 생후 6개월 이전에 나타나는 경우.
- 조절성 내사시: 원시(먼 곳을 잘 보지만 가까운 곳을 보기 어려운 상태)로 인해 눈이 안쪽으로 몰리는 경우.
② 외사시(Exotropia)
- 한쪽 또는 양쪽 눈이 바깥쪽(귀 쪽)으로 향하는 경우.
- 간헐성 외사시: 평소에는 정상이지만 피곤할 때나 멍할 때 눈이 바깥쪽으로 빠지는 경우.
- 지속성 외사시: 항상 눈이 바깥쪽으로 향하는 경우.
③ 수직사시(Vertical Strabismus)
- 한쪽 눈이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치우치는 경우.
- 눈 근육 이상이나 신경 마비로 인해 발생 가능.
④ 마비사시(Paralytic Strabismus)
- 눈을 움직이는 근육을 조절하는 신경이 마비되어 눈이 정상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경우.
- 선천적 또는 외상, 질환(예: 뇌신경 이상)으로 인해 발생.
⑤ 가성사시(Pseudostrabismus)
- 눈이 사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정상적인 경우.
- 주로 코가 넓거나 눈 사이 거리가 좁아 착시현상으로 발생.
3. 어린이 사시의 주요 증상
- 한쪽 눈이 다른 쪽과 방향이 다름
- 햇빛이 강할 때 한쪽 눈을 찡그림
- 사물을 볼 때 고개를 기울이거나 한쪽으로 돌리는 습관
- 입체감 부족 (물체의 거리감이나 깊이 인식이 어려움)
- 쉽게 피로해하고 눈을 자주 비빔
- 두 눈을 사용할 때 시야가 겹쳐 보이는 복시(겹쳐 보임) 증상
4. 어린이 사시의 치료 방법
① 안경 착용
- 조절성 내사시의 경우 원시 안경을 착용하면 눈 정렬이 바로잡힐 수 있음.
- 정확한 도수를 맞춘 안경 착용이 중요.
② 시력 교정 훈련(약시 치료 포함)
- 사시와 함께 약시(한쪽 눈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상태)가 있는 경우 가림 치료(정상 눈을 가려 약한 눈을 훈련)를 시행.
- 시각 자극을 주는 다양한 훈련이 필요.
-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6~8세 이전에 굴절이상을 교정하고 가림치료가 효과적.
③ 프리즘 렌즈
- 눈이 맞춰지는 방향을 조절하는 특수 렌즈를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
④ 보톡스 주사
- 특정 경우(마비사시 등)에서 과도하게 수축된 눈 근육을 이완시키는 목적으로 사용 가능.
⑤ 수술 치료
- 사시의 정도가 심하거나 다른 치료 방법으로 교정되지 않는 경우 시행.
- 눈 근육의 위치나 힘을 조절하여 눈을 바로 정렬하는 방법.
5. 어린이 사시,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
어린이 사시는 단순히 눈이 틀어지는 문제가 아니라 시력 발달과 입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약시나 복시(물체가 겹쳐 보이는 현상)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어린이의 시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보이면 안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생후 6개월 이후에도 눈이 정렬되지 않음
✅ 한쪽 눈이 지속적으로 다른 방향을 향함
✅ 눈을 자주 비비거나 사물을 볼 때 한쪽 눈을 가림
✅ 물체가 겹쳐 보이거나 거리 감각이 부족함
6. 수술 비용.
만 10세 이전은 (보험적용)약 60~80만원, 10세 이후에는 (비보험) 200~300만원정도로 예상됩니다.
만 10세 미만의 어린이
- 건강보험 적용: 만 10세 미만의 어린이에게 시행되는 사시 수술은 일반적으로 건강보험의 적용을 받습니다.
- 이는 이 시기에 시력과 시기능의 발달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만 10세 이상의 경우
- 건강보험 적용 조건:
- 전신 질환, 안와 질환, 눈 주위 수술, 외상 등으로 인해 사시가 발생하고 복시(물체가 두 개로 보임)나 혼란시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 만 10세 이전에 발생한 사시로 인해 이상두위(고개를 비스듬히 하여 사물을 보는 증상)가 있는 경우.
- 1차 사시 교정 수술 후 과교정으로 인해 2차 수술이 필요한 경우.
- 미용 목적의 수술: 시력이나 시기능의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단순한 외모 개선 목적의 사시 수술은 건강보험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실손의료보험 및 기타 보험 적용
- 실손의료보험: 건강보험 적용 기준에 부합하여 치료 목적의 사시 수술을 받는 경우, 실손의료보험에서 수술비 및 의료비 보상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미용 목적의 수술로 판단될 경우, 보험사에서 보상을 거절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EJ 아빠의 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기기 휴대 학습 디벗, 아이들 학습에 도움이 될까? (5) | 2025.02.18 |
---|---|
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 2024년 마지막 신청 접수 (7) | 2024.11.10 |
성장기의 아이들에게 나쁜 아침 식사 (2) | 2024.11.07 |
2024년 초등학생 건강 검진 & 구강 검진 문진표 (17) | 2024.10.02 |
#317 1호의 엘리하이로 공부하기, 벌써 1년 후기. (22) | 2024.02.12 |